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Jpype
- Java
- 프로그래머스
- 나무자르기
- KONLPY
- jvm.py
- rest api
- 토픽모델링
- 백준
- bs4
- gensim
- ShallowCopy
- tweepy
- ChromeDriverManager
- elastic search
- js
- centos8
- MariaDB
- git bash
- pip install mariadb
- dataframe
- pyLDAvis
- bulk post
- dead lock
- Pythonic
- 파이썬
- 완주하지못한선수
- Python.h
- pandas
- ELASTIC
- Today
- Total
부리부리부리
[Java] 백준 14247 - 나무자르기 본문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247
14247번: 나무 자르기
영선이는 나무꾼으로 나무를 구하러 오전에 산에 오른다. 산에는 $n$개의 나무가 있는데, 영선이는 하루에 한 나무씩 $n$일 산에 오르며 나무를 잘라갈 것이다. 하지만 이 산은 영험한 기운이 있
www.acmicpc.net
문제 설명
영선이는 나무꾼으로 나무를 구하러 오전에 산에 오른다. 산에는 n개의 나무가 있는데, 영선이는 하루에 한 나무씩 n일 산에 오르며 나무를 잘라갈 것이다. 하지만 이 산은 영험한 기운이 있어 나무들이 밤만 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자라는데, 그 자라는 길이는 나무마다 다르다.
따라서, 어느 나무를 먼저 잘라가느냐에 따라서 총 구할 수 있는 나무의 양이 다른데,
나무의 처음 길이와 하루에 자라는 양이 주어졌을 때, 영선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나무양을 구하시오.
참고로, 자른 이후에도 나무는 0부터 다시 자라기 때문에 같은 나무를 여러 번 자를 수는 있다.
입력
첫째 줄에는 나무의 개수 n개가 있다. 나무는 1번부터 n번까지 있다.
다음 줄에는 첫날 올라갔을 때 나무의 길이들 H_i가 n개, 순서대로 주어진다.
그 다음 줄에는 나무들이 자라는 길이 A_i가 n개, 순서대로 주어진다.
출력
영선이가 나무를 잘라서 구할 수 있는 최대 양을 출력하시오.
제한
- 1 ≤ n ≤ 100,000
- 1 ≤ H_i ≤ 100,000
- 1 ≤ A_i ≤ 10,000
풀이
정렬을 이용해 최적의 답을 찾아가는 그리디(Greedy) 문제이다.
최적해를 구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실은 "모든 나무를 한번 씩만 자르기" 이다.
자칫하면 성장 길이가 가장 큰 나무만 계속 자르면 되지 않나 생각할 수 있겠지만, 그 동안 다른 나무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으므로 최적해가 아니다.
결국 "성장 길이"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후 한번씩 잘라가며 풀면 되는 쉬운 문제이다.
쉬운 문제인 줄 알았지만.. 간과하기 쉬운 것이 하나 있으니, 바로 타입이다.
무슨 말인가 하면..
100,000개의 나무의 높이가 전부 100,000으로 주어졌다고 가정해보자.
디폴트 높이의 총합만 따져도 10^10.. 무려 100억이다.. 살면서 벌 수도 만져볼 수도 없는 100억..
버릇처럼 쓰던 int는 21억따리이기 때문에 오버플로우가 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자..
따라서 sum의 타입을 long으로 지정해주기!
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다.
Code
import java.util.*;
import java.io.*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long sum = 0;
// treeinfo[x][0] : 초기 길이
// treeinfo[x][1] : 1일 성장 길이
int[][] treeInfo = new int[n][2];
String[] input = br.readLine().split(" ");
// 나무 길이 정보
for(int i=0; i<n; i++) {
treeInfo[i][0] = Integer.parseInt(input[i]);
}
input = br.readLine().split(" ");
// 나무 성장 정보
for(int i=0; i<n; i++) {
treeInfo[i][1] = Integer.parseInt(input[i]);
}
// 성장 길이 오름차순 정렬
Arrays.sort(treeInfo, new Comparator<int[]>(){
@Override
public int compare(int[] tree1, int[] tree2) {
return tree1[1] - tree2[1];
}
});
for(int day = 0; day < n; day++) {
sum += treeInfo[day][0] + treeInfo[day][1]*day;
}
bw.write(sum + "");
br.close();
bw.close();
}
}
지구 온난화가 이렇게 심각한데 이렇게 많은 나무를 잘라도 되나??
'코테 > 코테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테] 동적 프로그래밍 - 1로 만들기 (0) | 2023.05.01 |
---|---|
[python/백준] 영수증 (0) | 2022.12.05 |
[python/백준] 킹, 퀸, 룩, 비숍, 나이트, 폰 (0) | 2022.12.01 |
[프로그래머스] 행렬의 덧셈 (feat. zip) (0) | 2022.01.19 |
[프로그래머스] 완주하지 못한 선수 (0) | 2022.0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