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처리/ELK
[Elastic Search] GET, PUT, POST, DELETE
부리부리부리부리
2022. 12. 1. 20:20
* 해당 게시글은 인프런 허민석님의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. 모든 사진의 출처는 강의임을 밝힙니다.
학습 페이지
www.inflearn.com
우리에겐 더 익숙한 RDBMS의 여러가지 명칭들이 Elastic Search (이하 ES) 에서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.
또한 ES는 Rest API를 사용한다.
우선 포스트맨을 이용하여 index (DB)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자.
* 포스트맨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https://godjuhyuk.tistory.com/16
GET 으로 다음과 같이 확인한다.
아직 해당 인덱스를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
이제 인덱스를 생성해보자.
생성되었다는 return이 왔으므로 이제 내부 요소인 Documents 를 생성해보자.
POST 요청을 할 때 Body에 JSON 데이터로
{
"title" : "Algorithm",
"professor" : "John"
}
다음과 같이 파라미터를 설정한다. 그리고
localhost:9200/classes/class/1
위 주소로 POST 요청을 보내주는데, classes (인덱스) 뒤의 class와 1은 각각 타입, id를 의미한다.
음 성공한거 같은데 GET으로 다시 확인해보자.
잘 들어갔음을 확인했다!
이제 마지막으로 삭제를 해볼까?